UKF는 베이스 음악이라는 큰 틀 아래 다양한 하위 장르의 믹스와 라이브 공연을 송출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음악의 발전에 기여하는 고품질의 팟캐스트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체 티켓팅 플랫폼을 통해 영국 전역에서 베이스 음악 파티를 기획하며, 베이스 음악 커뮤니티의 탄탄한 지지를 받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길을 돌아다니다 보면 안전상의 이유로 통행이 금지된 공사장을 지나곤 한다. 보통은 빠른 속도로 지나지만 유독 갑갑해지는 장소가 있다. 사람 키보다 훌쩍 높은 가림막이 설치된 건축 예정지이다. 그 너머에 혹은 그 너머의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가늠할 수 없는 벽을 따라 걷다 보면 그 공간에 대한 기대보다 또 아파트를 짓는구나 하는 실소가 터져 나온다.
결론적으로 기정과 기우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 시작은 문광을 따라 근세가 숨어있는 지하실로 내려가면서부터였다. 기정과 기우는 그곳에서 자신들이 그토록 외면하고자 했던 현실을 비로소 마주했다. 구약성서에서 소돔과 고모라가 불타는 동안 이를 피해 도망치던 롯의 아내는 뒤를 돌아보지 말라던 신의 금기를 깨고 돌아본 순간 소금 기둥이 되었다. 기정과 기우가 ...
2012년 월간 윤종신 6월호로 발표된 <오르막길>에는 '오르막길'이라는 고난을 헤쳐나가는 두 사람의 이야기가 감동적으로 그려져 있다. 노래는 지금 자신의 높이에서 더 높은 곳으로 가기 위한 시련이 오르막이라고 말하고 있다. <오르막길>의 끝에서는 그들이 그런 시련을 극복한 것처럼, 극복할 힘을 얻은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거기서 끝일까?
운오는 형보다 더 오래 살고 더 많은 것을 보고 들었지만 그건 별로 의미가 없다는 것을. 운오는 오로지 그 사실을 알기 위해 나이를 먹은 기분이었다.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 ART insight ...
서늘한 밤공기가 나의 코끝을 스쳤다. 샘을 간지럽히던 그림자와 사막의 일렁임이 멈추었다. 그 빈자리는 곧 작은 불빛들로 채워졌다. 손 뻗으면 닿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림자가 머물던 자리를 흘기며 꽃에게 물었다. "오랜 밤을 견디어 낼 자신이 있다면." 언젠가 별꽃이 들려주었던 이야기가 있다.
로맨틱 코미디 혹은 로맨스 영화 추천 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영화 <첫 키스만 50번째>. 추천 리스트에 있는 다른 영화는 거의 다 봤다고 해도 무방하지만 <첫 키스만 50번째>만 계속 미루고 미루다 이제야 보게 됐다. 당시 한창 전성기였던 아담 샌들러와 드류 베리모어를 주연으로 장르까지 로맨틱 코미디라니 아주 작정하고 성공하겠다는 게 느껴진다. 하지만 ...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도 모두 첫사랑을 한다. 각자의 첫사랑은 마치 천재지변처럼, 한순간의 우연처럼, 아주 작은 민들레 홀씨처럼 찾아온다. 어떤 천재지변은 누군가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한순간의 우연은 평생 잊지 못할 인연이 되고, 작은 민들레 홀씨 같던 시작은 무성한 꽃을 피운다. 처음에는 저렇게까지 인생이 뿌리째 흔들리게 하다니, 너무하다는 생각도 ...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무엇을 했냐고 물으면 '공연 관람' 이라고 즉각 답할 정도로 무수하고 다채로운 공연을 향유하고 다녔다. 형형색색의 공연을 만나볼 수 있는 대학로 근처에 회사가 위치한 덕분에 퇴근 후 일상에는 공연이 자리했다. 주말에도 보고 싶은 공연이 있다면 망설이지 않고 집을 나섰다. 과거에는 2주에 1편 정도 공연을 찾았다면, 작년에는 ...
그러니 지금 내가 배우는 모든 것들은 이 작은 움직임들은 다가올 미래의 가치로 언젠가 굳어져 있을 것이다. 멀리서 보면 움직이지 않지만 가까이서 보면 누구보다 치열하게 움직이고 쌓아온 가치들이다. 우리 삶을 아주 멀리 오래 넓게 바라보자.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 ART insight ...
마초적이고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세계관에 쉽게 편입되지 못하는 약한 인물은 대다수의 관객들에게 빌런으로 다가오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수밖에 없는 것인가.문화예술은 '소통'입니다 - ART insight ...
드라마 <옥씨부인전>에서 성윤겸이 동성애자라는 설정은 조선시대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서자임을 알게 되어 집을 뛰쳐나와 전기수가 된 천승휘 (송서인)가 옥태영의 남편인 성윤겸의 행세를 하며 살아야 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빌드업’에 가깝다. 근대 이후의 제도화된 도덕 경제를 반영한 연인 사이의 배타적 성 독점이라는 모노가미의 로맨스 문법 ...